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노화와 당뇨

나트륨 과다섭취 증상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나트륨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200만 년 이래로 우리는 혈압이 높아 걱정인 기간은 100년도 채 안된다. 도리어 혈압이 90/60mmHg를 유지 못하면 생존이 안되어 늘 혈압을 높일 궁리는 하면서 진화해 왔다. 그 시스템이 레닌-안지오텐신계(RAAS)라고 일컬어 진다. 당뇨에서는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이 중요하듯이 혈압에서는 안지오텐신2라는 호르몬이 가장 중요하다. 나트륨 과다 섭취는 이 시스템에 과부하를 가져오고 고혈압을 증가시킨다. 또한 나트륨은 여러 가지 장단기적으로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이어트 나트륨 하루 권장량

 

다이어트 나트륨 하루 권장량

세계적인 사망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1800만 명/년)이고 우리나라에서는 각각 2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심혈관질환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고혈압 또한 그 원인 중 하나고 특히 나트륨 섭취와

glucosediary.tistory.com

나트륨과 단기 혈압조절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RAAS)은 신장, 심장, 혈관, 부신 등 다양한 기관에 의해 조절되는 체내 호르몬 시스템으로 체액 균형과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신장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체액의 부족이 발생했을 때 혈압을 높여 신체에 필요한 혈액공급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시스템이 과도하게 작동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 과부하 : 고혈압

 

혈압 조절: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계통
 

 | 레닌-안지오텐신 과잉

  혈압을 올리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은 안지오텐신 2로써 원시시대부터 인간에게 있어 혈압을 올리는 것이 낮추는 것보다 더 중요하였고 그 시스템이 RASS로써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하면 신체의 나트륨 농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혈액의 용적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한다.

   혈압 상승은 신장에 부담을 주어 레닌의 분비를 촉진하며, 이로 인해 RAAS 시스템이 활성화 되고, 다시 RAAS 시스템이 활성화되면 안지오텐신 II와 알도스테론의 분비가 증가하며, 이는 혈관 수축과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촉진한다.

   이렇게 혈관 수축과 혈액량 증가에 의한 혈압 상승이 지속되면, 신장 기능 저하,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등의 건강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혈압조절의 원리

    나트륨은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 혈압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압은 심박출량과 말초저항의 곱으로 결정되는데, 심박출량은 심장이 한 번에 펌프하는 혈액의 양을 의미하고, 말초저항은 혈관의 저항력을 나타낸다. 두 가지 요인이 결합하여 혈압이 결정되며, 이 과정에서 나트륨의 역할이 크다.

  | 나트륨 과다섭취 증상 및 원인

   나트륨 섭취가 과도하게 이루어지면 혈액의 나트륨 농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체내에서 물이 과도하게 머물게 되어 혈액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혈액량이 증가하면 심박출량이 높아지고, 말초저항도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한다. 혈압이 상승하면 혈관 내피 손상가 손상되어 동맥경화 신장 혈관 손상이 이루어져 신장기능 저하 위점막 손상, 위축성위염/장상피화생, 위암 칼슘 흡수 제해, 골다공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ㄱㄱ

동맥경화증 원인과 초기 증상 및 치료와 예방

 

동맥경화증 원인과 초기 증상 및 치료와 예방

동맥경화증 원인과 초기증상 동맥경화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며 특히 당뇨병은 "침묵의 학살자"로 불리며 뇌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무서운 원인 중 하나다. 그리고 심혈관 질환은 세계적으

glucosediary.tistory.com

 

염분 민감성

    염분 민감성은 개인의 혈압이 나트륨 섭취량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염분 민감성이 높은 사람이 나트륨 섭취를 높이면 혈압이 더욱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혈압이 더욱 빠르게 감소한다. 이러한 현상은 인구 중 일부에서만 나타나는 특성으로, 염분 민감성이 낮은 사람들은 나트륨 섭취량의 변화에 혈압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염분 민감성은 유전적 요인, 나이, 신장 기능, 인종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나트륨 섭취 제한은 특히 염분 민감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칸변경

나트륨과 장기 혈압조절

암반사 기능의 손상은 신장에서 발생하는 나트륨 농도 조절 과정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신장은 체내 나트륨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터링 과정에서 남아 있는 나트륨을 다시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 암반사기능의 손상이 발생하면 신장이상이 오고 그로 인해 장기적으로 고혈압이 발생하며, 이어서 동맥경직과 혈관기능장애로 심혈관 질환이 높은 확률로 발생할 확률이 있으니 그 원리를 잘 살펴보자

암반사 기능의 손상

  평상시 신장은 체내 나트륨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터링 과정에서 남아 있는 나트륨을 다시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은 암반사라고 불리는 신장의 특정 부위에서 일어난다.

   암반사 기능의 손상이 발생하면, 신장은 필터링 과정에서 남은 나트륨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배출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체내의 나트륨 농도가 불균형해지며, 이러한 불균형 상태는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초래하며, 가장 일반적인 문제는 고혈압으로, 체내의 나트륨 농도가 높아지면 혈압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신장 기능 저하, 신부전 등의 신장 관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암반사 기능의 손상은 나이, 유전, 기저 질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칸변경

동맥경직 

 큰 탄성 동맥의 기계적 특징은 동맥벽에 있는 세포의 기질의 주요 구성요소인 엘라스틴과 콜라겐 섬유 간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엘라스틴 및 콜라겐 섬유비율은 기질단백분해효소(MMP)에 의해 조절되는데 나트륨을 과다섭취하면 엘라스틴섬유가 분절(부러트려짐)되고 콜라겐섬유가 축적되어 동맥경직이 일어날수 있다.

칸변경

혈관 기능 장애

 높은 나트륨 섭취로 유도된 cyp4 a/20-hete시스템상향조절은 산화스트레스를 높이고 , 산화질소 생체 이용률이 감소되며, 혈관기능장애(미세혈관 호박화, 동맥혈관 확장능력 감소)가 올 수 있다.

cyp4 a/20-hete시스템:신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화학적 경로 중 하나로, 주로 혈압 조절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한다. CYP4A는 사이토크롬 P450의 일종으로, 인체 내 다양한 생리 활성을 지닌 물질들의 대사에 관여한다. 이러한 CYP4A는 20-HETE(20-Hydroxyeicosatetraenoic acid)라는 화합물을 생성한다.

고지혈증 원인과 초기 전조 증상 및 치료와 예방에 좋은 음식

 

고지혈증 원인과 초기 전조 증상 및 치료와 예방에 좋은 음식

WHO에서 발표한 전 세계 10대 사망원인을 보면 1위가 협심증 및 심근경색등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이고, 2위가 뇌졸중으로 심혈관질환은 2019년에 890만 명이 사망하였으며, 뇌졸중은 약 600백만 명이

glucosediary.tistory.com